서론
웹 개발을 공부하는 과정에서 JavaScript의 깊이 있는 이해는 필수적이다. 특히 함수와 관련된 다양한 개념들은 웹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는데 있어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. 오늘은 함수의 기본 문법을 넘어서 보다 심화된 개념인 콜백과 재귀함수에 대해 학습했다. 이번 포스팅에서는 각각의 개념을 어떻게 이해하고 적용했는지, 그리고 그 과정에서 얻은 인사이트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.
본론
환급 챌린지 조건에 의해 최소 두 개의 강의를 들어야 한다. 다음 두 강의를 나누어 간략히 내용과 후기를 적으려 한다.
- 첫 번째 강의: 함수 - 콜백
- 두 번째 강의: 함수 - 재귀
첫 번째 강의: 함수 - 콜백
콜백함수는 함수를 인자로 다른 함수에 전달하는 방식으로, 비동기 작업을 다룰 때 매우 유용하다. 이 강의에서는 콜백함수의 기본 개념을 배우고, 실제 비동기 함수에서의 활용 예를 다루었다. 예를 들어, 웹페이지에 이미지를 로드하는 경우, 이미지가 로드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특정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상황에서 콜백함수를 활용할 수 있다. 다음은 강의에서 배운 콜백함수의 예제 코드다.
const loadImage = (url, callback) => {
const imgEl = document.createElement('img');
imgEl.src = url;
imgEl.addEventListener('load', () => {
callback(imgEl);
});
};
loadImage('이미지URL', imgEl => {
document.body.appendChild(imgEl);
});
이 코드를 통해 이미지 로딩이 완료되면 콜백함수를 통해 다음 작업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. 콜백함수의 이해는 비동기 프로그래밍의 핵심적인 부분이다.
두 번째 강의: 함수 - 재귀
재귀함수는 자기 자신을 호출하는 함수로, 반복적인 작업을 수행할 때 유용하게 사용된다. 재귀함수의 핵심은 탈출 조건을 설정하여 무한 루프에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. 강의에서는 재귀함수의 기본 원리와 함께, 실제 예제를 통해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를 배웠다. 다음은 간단한 재귀함수 예제다.
function countdown(number) {
if (number === 0) {
console.log("Done!");
return;
}
console.log(number);
countdown(number - 1);
}
countdown(5);
이 예제에서는 숫자를 출력하고 1씩 감소시키는 과정을 재귀적으로 반복한다. 이처럼 재귀함수는 복잡한 문제를 간단하게 풀어낼 수 있는 강력한 도구다.
결론
콜백함수와 재귀함수의 이해는 JavaScript를 통한 효율적인 프로그래밍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다. 이번 학습을 통해 비동기 처리와 반복적인 작업의 처리 방법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할 수 있었다. 특히 실제 예제를 통한 실습은 이론적 지식을 실제 적용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다. 앞으로 이러한 개념들을 다양한 프로젝트에 적극적으로 활용해보며, 더 깊이 있는 웹 개발 지식을 쌓아가고자 한다.
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하였습니다.
https://bit.ly/48sS29N
'Interactive Web > Fast Campu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28일차 미션 (2월 28일) : 인터랙티브 웹 강의 후기 (0) | 2024.02.28 |
---|---|
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27일차 미션 (2월 27일) : 인터랙티브 웹 강의 후기 (0) | 2024.02.27 |
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25일차 미션 (2월 25일) : 인터랙티브 웹 강의 후기 (0) | 2024.02.25 |
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24일차 미션 (2월 24일) : 인터랙티브 웹 강의 후기 (1) | 2024.02.24 |
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23일차 미션 (2월 23일) : 인터랙티브 웹 강의 후기 (0) | 2024.02.23 |